진리표에서 1의 값을 가지는 리터랄(literal, 변수)을 모두 찾아서 곱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, 이때 곱의 항을 민텀(minterm)이라고 한다. 즉 n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불(boolean) 식에서 n개의 변수의 논리곱(AND)으로 만들어진 항을 말한다. n개의 변수에 대해서는 2^n개의 민텀을 가진다. 모든 불 함수는 민텀들의 논리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.
입력 변수가 X, Y일 때 m0 ~ m3인 경우가 발생한다. (m = minterm)
n개의 변수에 대해서는 2^n개의 민텀을 가진다. -> X, Y 2개의 변수이기 때문에 2^2 = 4개의 민텀을 가진다.
위의 예시 진리표는 m0 ~ m3, 4개의 민텀을 가진다.
벤 다이어그램 상태에서 민텀은 최소 독립 영역을 의미한다.
결론: 민텀(minterm) = n개의 리터랄(literal, 변수)의 곱 형태